중장거리타자 의미와 장타율 높은 타자 2루타 3루타 야구용어에 대한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야구를 보다보면 홈런을 치는 타자들은 거포 그리고 홈런까지는 아니지만 장타를 치는 타자들 중장거리타자들이 있고 이런 선수들은 2루타와 3루타등 장타를 많이 생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 중장거리타자
중장거리타자 의미는 단타보다는 2루타와 3루타를 잘 생산하는 타자들을 말하며 홈런까지는 아니지만 충분히 장타를 생산하고 있는 타자들을 부르는 야구용어입니다. 정리하면 홈런보다는 2루타와 3루타까지 장타를 쳐내는 타자로 정확하고 강한 타격을 바탕으로 장타율을 높이는 타자를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얘를 들어, 대한민국의 홈런왕이라고 하면 이승엽 박병호 최정과 같은 선수들은 거포 그리고 홈런타자라고 하며 이런 타자들에 비해서 홈런은 낮지만 꾸준하게 2루타와 3루타를 생산하면서 장타율도 높은 선수들인 양준혁 선수와 이정후 선수와 같은 선수들은 중장거리타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이저리그로 진출한 이정후 선수는 홈런보다는 정확한 타격 그리고 그 타격과 함께 강한 타구를 만들어내면서 빠른발도 활용하여 2루타와 3루타를 많이 만들어내는 선수인데요. 최근에는 2024년 MVP를 차지한 김도영 선수의 경우에도 홈런도 많이 만들어내지만 중장거리타자로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몰론 홈런도 많이 치는 대단한 타자!!)
중장거리타자의 가치는 팀에서 매우 중요하고 높습니다. 특히 중장거리타자의 경우에는 높은 타격실력과 높은 장타율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 야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스탯인 OPS (On-Base Plus Slugging) 을 높일 수 있는데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 여부인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하는 수치로 이러한 경우에는 타자로서의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타자가 팀에 있다면 자주 출루하면서도 장타까지 때려주는 만큼 그 가치가 엄청납니다.
아무래도 야구라는 게임이 홈런을 치는것으로 점수를 내거나 혹은 3루까지 주자를 보내고 그리고 홈으로 주자를 불러들어야 점수가 나는 게임이다보니까 홈런으로 점수를 내거나 혹은 점수를 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3루를 빠르게 주자가 가는것이 중요한 만큼 중장거리타자는 2루타와 3루타를 생산하면서 많은 득점과 타점에 관여하는 만큼 그 가치가 정말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4.06.04 - [스포츠] - 프로야구 피치컴 도입 및 사인훔치기 와 피치클록
프로야구 피치컴 도입 및 사인훔치기 와 피치클록
프로야구가 사인훔치기등을 막을 수 있는 피치컴이 도입될 예정입니다. 경기진행을 빠르게 하기 위한 피치클록 실행을 위해서 여러 이슈들이 있었고 인증등이 늦어졌던 피치컴 도입 그리고 완
infoji.co.kr
2.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중장거리타자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중장거리타자들은 양준혁 선수를 비롯하여 최형우 선수 그리고 김현수와 이정후 선수등이 있습니다.
2루타 그리고 3루타까지도 만들어낼 정도로 뛰어난 타격능력을 바탕으로 강한타구를 멀리 보내서 2루타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선수들이기도 합니다. (통산 2루타 순위에서 1위 최형우 - 3위 양준혁 - 4위 김현수 그리고 이정후 선수는 2020년 단일시즌 2루타 1위등 기록을 살펴볼 수 있어요)
최형우 선수 노장이지만 2024년 기아 우승까지 함께 하면서 건재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최고의 선수중 한명인데요 진짜 대단한 선수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김현수 선수 메이저리그까지도 진출했던 선수이며 안타를 생산하는 능력이 뛰어난 타자로 2루타 부분에서도 꾸준한 중장거리타자로 활약하고 있으며 LG의 우승에도 활약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지난시즌 부상으로 아쉬웠지만 다시 메이저리그에서 활약을 시작한 이정후 선수 이런 좋은 선수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영상등으로 함께 공유해봤습니다.
2024.11.22 - [야구] - 지명타자 오나티 2024년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MVP
지명타자 오나티 2024년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MVP
지명타자 오나티 2024년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MVP 에 선정되었습니다. 그냥 뭐 말이 필요 없는 일본출신 메이저리거 오타니 쇼헤이 선수는 2024년 지명타자로만 나서면서 50-50을 넘어서는 기록들
infoji.co.kr